우리들의 이야기

2018.05.27 23:35

당뇨병성 신질환 치료법

당뇨병성 신질환은 당뇨병의 합병증 중에 하나로 당뇨병 진단 이후 수년 후에 단백뇨가 나타나면서 시작된다. 점차 혈청 크레아틴이 증가하고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하면서 서서히 만성신부전 상태가 된다.

초기 단백뇨가 나오는 당뇨병성 신증 상태에서는 고단백을 피하고 고혈압을 조절해야 신기능의 나빠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적절한 식사량으로 혈당을 조절하며 고기류 과식이나 고단백 음식을 삼가고, 혈압을 낮추기 위해 체중감소와 저염식사가 필요하다.

점차 신기능이 나빠져서 만성신부전 상태까지 진행되면 만성신부전 식사요법과 유사하게 된다. 또한 당뇨병으로 신부전 상태에서 고지혈증이 나타나 심혈관계질환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신장 손상의 진행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혈청 지질 농도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뇨병성 신부전 환자들은 대사적인 문제와 단백뇨로 인한 단백질 손실이 심하고 저단백식사를 하면서 적절한 열량과 단백질 섭취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환자들보다 영양적 문제점들이 빨리 발생할 수 있다.

정기적인 진료와 함께 영양사로부터 정기적인 영양교육을 통해 대사적, 영양적 문제점을 교정하고 충분한 섭취를 유지해야 한다. 그 외 신부전 대체요법으로 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 등을 진행하게 되면 이에 따른 식사요법을 적용해야 한다.

고단백 식품 섭취방법
단백질을 한꺼번에 많이 먹으면 신장 부담이 많아져 신기능을 악화시키므로 육류, 생선 등을 한꺼번에 과식하는 식습관을 피해야 한다.

실천사항

1. 신부전 진행속도를 늦추기 위해 단백질을 제한한다.
- 식사 시 단백질 음식을 평소보다 1/3 정도를 줄인다.
2. 혈압 조절을 위한 저염식사를 한다.
- 짠 음식을 피하고 가급적 간을 싱겁게 하여 혈압을 낮추도록 한다.
3. 혈당과 혈중 지질을 조절하면서 체조직을 유지할 정도의 열량섭취가 필요하다.
4. 소변이 적게 나오거나 부종이 있을 때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수분섭취를 제한해야 한다.
- 물이나 음료를 과량으로 마시지 않도록 조절이 필요하다.
5. 신대체요법(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 등)이 이루어지면 그에 따른 식사요법이 필요하다.

식단정보

구분음식명재료분량

아침

흰밥

흰밥

1공기

콩나물국

콩나물국

1그릇

호박전

호박

1작은접시

도라지볶음

도라지

1작은접시

연근전

연근

1작은접시

저염김치

저염김치

1작은접시

저지방 우유

저지방 우유

1/2컵

점심

흰밥

흰밥

1공기

무국

무국

1그릇

쇠고기전

쇠고기

1작은접시

숙주나물

숙주

1작은접시

가지전

가지

1작은접시

깻잎볶음

깻잎

1작은접시

오이초절이

오이

1작은접시

사과

사과

1/2개

저녁

흰밥

흰밥

1공기

실파달걀국

실파달걀국

1그릇

갈치튀김

갈치

1토막

버섯전

느타리버섯

1작은접시

양배추 샐러드

양배추

1작은접시

채소잡채

당면, 채소

1작은접시

무초절이

1작은접시

1/3개





  • 공유링크 복사
    미니홈 쪽지 구독하기
    구독하고 알림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