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이야기

2018.05.27 23:57

발달장애 원인?

발달장애아는 음식물 섭취에 문제가 생겨 영양상태에도 영향을 미치며, 성장부진, 지나친 체중증가, 빈혈 또는 변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개인의 영양상태와 식사 기술능력에 맞는 식사계획을 해야 한다.
- 띰지 못하고 빨고 삼킬 수 있을 때 : 액체 상태의 우유, 두유, 요구르트, 수프 등
- 턱을 움직여 띰을 수 있을 때 : 곱게 다진 고기, 달걀, 생선살, 부드럽게 으깬 채소
- 손으로 음식을 집어 입으로 가져갈 때 : 크래커, 잘 익힌 감자, 치즈 스틱
- 수저를 잡을 때 : 혼자서 먹게 하고, 죽, 으깬 감자, 으깬 채소

성장발달 정도와 영양상태에 대한 전문가(소아청소년과 의사, 영양사 등)의 정기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식사기술능력 평가의 예
- 스스로 먹을 수 있는가
- 누가 도움을 줄 수 있는가
- 머리와 목을 가눌 수 있는가
- 입, 입술, 혀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가
- 빨고, 삼키고, 띰고, 마실 수 있는가
- 손에 물건을 쥘 수 있는가
- 팔, 눈과 손을 마음대로 쓸 수 있는가
- 한 두 가지 식품/음식만을 먹고 있지 않은가

삼킴장애와 농축 유동식(반유동식)
잘 띰지 못하여 우유, 두유 등의 1~2가지 음식에만 의존하면 필요 이상의 무기질을 섭취하게 되고, 비타민, 섬유질 등이 부족해지는 등 영양상태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익힌 고기, 익힌 생선살, 채소 나물 등에 각각 죽을 약간 넣어 갈아서 먹여 본다. 묽기는 죽 또는 물로 적당히 조절한다.

실천사항

1. 성장부전의 경우 정상적인 성장발달을 위한 충분한 영양을 공급한다.
2. 지나친 체중증가의 경우 정상적인 체중유지를 위한 적절한 식사량을 제공하고, 과식을 피할 수 있도록 부모의 도움과 관심이 필요하다.
3. 식사기술 수준에 따라 식품 제공 형태를 조절하며(갈거나 다져줄 수 있다), 잘 삼키지 못할 경우는 미음, 수프의 형태로 먹이면 도움이 된다.
4. 균형잡힌 영양공급을 위하여 곡류, 채소, 고기, 생선, 두부, 과일, 유제품을 매일 골고루 먹는다.
5. 변비가 있는 경우는 물을 충분히 마시도록 한다.

식단정보

구분음식명재료분량

아침

쌀밥

2/3공기

생선구이

생선

1토막

감자당근볶음

감자, 당근

1/2접시

백김치

배추

3~4쪽

점심

쌀밥

2/3공기

두부조림

두부

손바닥 크기 1쪽

시금치나물

시금치

1/2접시

오이소박이

오이

1쪽

저녁

쌀밥

2/3공기

불고기

쇠고기 40g

1/2접시

가지나물

가지

1/2접시

김치

김치

3~4쪽

간식

호상요구르트

호상요구르트

1개

우유

우유

1컵

시리얼

시리얼

1/4공기

복숭아

복숭아

1/2개





  • 공유링크 복사
    미니홈 쪽지 구독하기
    구독하고 알림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