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이야기

2018.05.28 12:39

신장이식이란

신장이식 후 6~8주 동안은 이화항진 상태가 되며 수술 후의 스트레스와 스테로이드 약물의 이화작용, 수술 전의 영양불량으로 인해 열량 및 단백질 요구량이 증가하므로 충분한 열량 및 단백질을 섭취해야 한다. 또한 신장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될 때까지는 혈압을 엄격하게 조절해야 하므로 소금 섭취를 제한하며, 고칼륨혈증, 저인산혈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전해질 섭취에도 주의하도록 한다.

이식 후 6~8주 이후부터는 정상적인 균형된 식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장기간 약물 사용과 잘못된 식습관으로 동맥경화, 골감소증, 비만, 고혈당증, 고지혈증, 고혈압, 고칼륨혈증, 빈혈 등이 쉽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열량과 단백질 섭취가 필요하며 단순당, 포화지방, 콜레스테롤, 지방이 많이 함유된 식품 섭취는 주의해야 한다.

염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가급적 피해야 할 식품
- 김치류, 젓갈류, 장아찌 등의 염장식품
- 화학조미료, 베이킹파우더가 들어간 음식
- 치즈, 베이컨, 햄, 통조림 등의 가공식품, 인스턴트식품

염분 섭취를 줄이는 방법
- 조리시 소금, 간장, 된장, 고추장 등의 사용을 줄인다.
- 염분이 적은 양념(설탕 식초, 레몬, 후추, 고추, 생강, 마늘, 파, 양파 등)을 사용하여 싱거운 맛에 변화를 준다.
- 찌개나 국 국물은 싱겁게 조리하고 건더기 위주로 섭취하며, 구수한 숭늉 등으로 대신한다.
- 조림보다는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여 튀기거나 볶아서 고소한 맛을 증가시킨다.
- 식사 바로 전에 간을 하여 짠맛을 더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실천사항

신장이식 직후(이식 후 6~8주 이전)

1. 충분한 열량 섭취를 한다.
- 이식 직후에는 수술로 인한 스트레스, 스테로이드 약물의 이화작용, 수술 전의 영양불량 등으로 인해 충분한 열량 섭취가 필요하다.

2. 충분한 단백질을 섭취한다.
- 이식 직후에는 수술에 따른 스트레스와 다량의 스테로이드 치료로 체내 단백질의 이화가 매우 증가하므로, 충분한 단백질 섭취가 필요하다.

3. 소금 섭취를 제한한다.
- 신장이식 후 신장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될 때까지는 혈압을 엄격하게 조절해야 하므로 소금 섭취를 제한한다.

4. 전해질 균형을 유지한다.
- 고칼륨혈증, 저인산혈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하도록 한다. 고칼륨혈증일 경우 1일 칼륨 2,000mg이하로 섭취한다.

신장이식 후(이식 후 6~8주 이후)

1. 적절한 열량 섭취를 한다.
- 신장이식 후의 합병증은 대부분 비만과 함께 동반되므로 합병증 예방을 위해 체중조절이 필요하다.

2. 적절한 단백질 섭취를 한다.
- 이식 후 신장이 안정화되면 적당량의 단백질을 섭취하도록 한다.

3. 소금 섭취를 조절한다.
- 고혈압이나 부종이 있을 경우 소금 섭취를 조절한다.

4. 단순당과 과다한 지방,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피한다.
- 신장이식 후 고인슐린혈증, 고지혈증 등이 나타나기 쉽다. 따라서 설탕, 꿀 등의 단순당과 포화지방, 콜레스테롤, 지방이 많이 함유된 식품의 섭취는 주의한다.

5. 충분한 칼슘섭취를 한다.
- 장기간 면역억제제 사용으로 골다공증 유발의 가능성이 증가되므로 칼슘 섭취를 증가시킨다.

식단정보

구분음식명재료분량

아침

쌀밥

쌀밥

1공기

콩나물국

콩나물국

1/2그릇

두부조림

두부

1/6모

깻잎고기전

깻잎, 다진 쇠고기 30g

1접시

느타리버섯볶음

느타리버섯

1접시

저염김치볶음

배추

1/2접시

멸균우유

멸균우유

1컵

점심

쌀밥

쌀밥

1공기

아욱된장국

아욱된장국

1/2그릇

불고기

쇠고기 40g

1접시

꽁치구이

꽁치

1토막

애호박나물

애호박

1접시

저염깍두기볶음

1/2접시

황도(통조림)

황도

1/2개

저녁

쌀밥

쌀밥

1공기

대구지리탕

대구지리탕

1/2그릇

달걀말이

달걀

1개

가지나물

가지

1접시

브로콜리양파볶음

브로콜리

1접시

저염김치볶음

김치

1/2접시


 

  • 공유링크 복사
    미니홈 쪽지 구독하기
    구독하고 알림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