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들의 이야기
과민성대장 증후군 치료방법
자극적인 식품섭취, 폭음, 폭식, 과량의 찬음식 섭취, 알코올 등의 식사성 요인과 과민한 대장점막, 자율신경의 실조 등의 요인, 과로, 불안과 긴장 등 정신적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 환자는 특정한 음식을 섭취한 후에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음식물 섭취와 증상에 대한 일기를 기록하여 과민성 장 증후군의 증상을 유발하는 음식을 발견하여, 이러한 음식을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식사는 소량씩 자주 먹는 것이 좋으며 자극적인 카페인 음료나 술, 고지방식을 피하는 것이 좋다.
섬유소가 많은 음식을 섭취하면 대변의 양이 증가하고 부드럽게 되어 변비가 호전되나 양배추, 콩과 같이 발효되어 가스를 많이 형성하는 음식은 피하는 것이 도움 된다.
실천사항
1. 평소에 먹었을 때 장에 불편을 주는 식품을 확인하고 그 식품의 섭취를 피한다.
- 가능성 높은 음식 : 우유, 유제품, 고지방식품, 가스형성식품, 카페인음료, 알코올, 많은 양의 과당 및 소르비톨 함유식품, 밀가루 음식, 인스턴트 식품 등
2. 과식을 피하고 소량씩 자주 규칙적으로 먹도록 한다.
3. 많은 양의 섬유소 식사가 가스를 형성할 수도 있으므로 식이섬유소의 함량을 서서히 늘리도록 한다.
4. 배변을 돕기 위해 충분한 물을 마시되, 특히 아침 일찍 차가운 물을 마신다.
5.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하여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특히 복근운동으로 직접적으로 장의 운동을 촉진시킨다.
6. 규칙적인 배변 습관을 기르고 아랫배는 항상 따뜻하게 한다.
식단정보
구분 | 음식명 | 재료 | 분량 |
---|---|---|---|
아침 | 콩밥 | 콩밥 | 1공기 |
배추된장국 | 배추된장국 | 1그릇 | |
동태찜 | 동태 | 1½ 토막 | |
감자조림 | 감자 | 1/2개 | |
고사리나물 | 고사리 | 1접시 | |
배추김치 | 배추김치 | 1접시 | |
점심 | 현미밥 | 현미밥 | 1공기 |
버섯국 | 버섯국 | 1그릇 | |
돼지고기청경채볶음 | 돼지고기 75g | 1접시 | |
도라지생채 | 도라지 | 1접시 | |
무말랭이무침 | 무말랭이 | 1접시 | |
총각김치 | 총각김치 | 1접시 | |
저녁 | 보리밥 | 보리밥 | 1공기 |
쇠고기미역국 | 쇠고기 40g, 미역 | 1그릇 | |
깻잎장아찌 | 깻잎 | 1/2그릇 | |
숙주나물 | 숙주나물 | 1그릇 | |
배추김치 | 배추김치 | 1그릇 |
- 이전글구루병 자기치료방법은2018.05.27
- 다음글골수인식 주의할점2018.05.27
댓글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