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_image](http://gamemaru.co.kr/img/no_profile.gif)
우리들의 이야기
복막투석 음식조절
복막투석 시 영양섭취 기준은 투석액의 교환 횟수, 투석액의 양과 농도, 환자의 체격 및 남아있는 신장기능이 고려되어야 한다.
복막투석을 시행하면 노폐물이 제거되면서, 혈액 내 단백질도 복막을 통하여 빠져 나가므로 투석시행 전과 달리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하여야 한다. 특히 복막염이 있을 경우 단백질 손실이 더 많아지므로 단백질 섭취를 늘려야 한다.
투석액에 포함되어 있는 당분은 투석 중 체내로 흡수되므로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환자의 경우 칼로리 과잉 섭취는 주의하고, 당분 섭취가 너무 많아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단백질 섭취가 많아짐에 따라 인의 섭취량도 증가됨으로써 인의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나, 식사기록 등을 확인하여 가능한 인 함량이 높은 식품의 섭취는 제한하도록 노력한다.
- 인이 많은 음식 : 잡곡, 콩, 달걀노른자, 유제품, 견과류, 어육류 등
혈액투석과 비교할 때 염분 섭취가 자유롭기는 하지만 1일 소금 섭취량이 5~10g 이내가 되도록 가능한 싱겁게 먹는다.
복막투석 시 고지혈증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 때에는 포화지방, 트랜스지방 및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염분 섭취를 줄이는 방법
1) 소금, 간장, 된장, 고추장 등의 양을 반으로 줄여 사용한다.
2) 신맛을 내는 소스(식초, 레몬즙, 오렌지즙)와 겨자, 고추냉이, 후추 등 향신료를 이용한다.
3) 젓갈, 장아찌, 김치, 햄, 인스턴트식품 등을 피한다.
식품 중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줄이는 방법
1) 육류의 기름기, 닭 껍질, 버터, 소시지 등의 섭취는 줄이도록 한다.
2) 팜유, 코코넛 기름, 쇼트닝의 사용도 삼가한다.
3) 달걀노른자, 육류의 내장, 오징어, 새우, 장어 등 콜레스테롤이 높은 식품의 섭취가 많아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식단을 계획하거나 조리를 할 때에는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을 포화지방(동물성기름 등), 트랜스지방(쇼트닝, 마가린 등)과 함께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인다.
실천사항
1. 고기, 생선, 두부 등 양질의 단백질 식품을 충분히 섭취한다.
2. 적정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열량을 적절히 섭취한다.
3.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경우 단 음식이나 기름진 음식을 제한한다.
4. 싱겁게 식사한다.
5. 인이 많은 식품을 주의한다.
식단정보
구분 | 음식명 | 재료 | 분량 |
---|---|---|---|
아침 | 쌀밥 | 쌀밥 | 1공기 |
콩나물국 | 콩나물국 | 1그릇 | |
꽁치구이 | 꽁치 | 2토막 | |
비름나물 | 비름나물 | 1접시 | |
장조림 | 쇠고기 40g | 1/2접시 | |
김치 | 김치 | 3~4조각 | |
점심 | 쌀밥 | 쌀밥 | 1공기 |
호박잎 된장국 | 호박잎 된장국 | 1그릇 | |
삼치구이 | 삼치 | 1작은토막 | |
두부조림 | 두부 | 1/4모 | |
부추생채 | 부추 | 1/2접시 | |
김치 | 김치 | 3~4조각 | |
저녁 | 쌀밥 | 쌀밥 | 1공기 |
닭개장 | 닭개장 | 1그릇 | |
쇠고기표고버섯 볶음 | 쇠고기 40g, 표고버섯 | 1/2접시 | |
가지나물 | 가지 | 1/2접시 | |
우엉조림 | 우엉 | 1/2접시 | |
김치 | 김치 | 3~4조각 | |
사과 | 사과 | 1/2개 |
댓글목록
![profile_image](http://gamemaru.co.kr/img/no_profile.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