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이야기

2018.06.02 18:54

심근경색 원인는?

식사를 하는 동안 심박동수, 혈압, 심박출량 등이 증가해서 심장에 부담이 되므로 과식을 피하고 소량씩 나누어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만은 그 자체가 심장에 부담이 되므로 비만인 경우 체중감량을 위해 칼로리 섭취를 줄이도록 한다.

동물성 기름보다는 콩기름, 들기름, 참기름 같은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고 달걀, 생선알, 생선이나 육류의 내장, 오징어, 새우, 장어 등 콜레스테롤 함량이 많은 식품은 1주일에 2~3회 이하로 섭취한다.

소금은 체내에서 수분을 함께 보유하려고 전체 혈액량을 증가시켜 심장을 힘들게 하고 호흡곤란과 하지부종, 체중증가를 유발하므로 소금 섭취량은 1일 5g(나트륨 2,000mg) 이하로 섭취하는 것을 권장한다.

카페인(커피, 콜라, 코코아 등)은 심장 박동을 불규칙하게 하는 등 심근에 자극을 주므로 발병직후 치료기간 동안에는 카페인 섭취를 제한하며, 회복 후 장기적인 식사관리에서는 개인에 따라 하루 2잔 이하의 커피를 섭취하도록 제한한다.

섬유소는 포만감을 줌으로써 과식을 방지하고, 콜레스테롤 배설기능이 있으므로 신선한 채소나 과일, 잡곡, 현미, 콩류, 해조류 등 섬유소가 풍부한 식사를 권장한다.

부드러운 질감을 가진 것으로 먹기 쉽고 소화하기 쉬워야 하며 음식은 소량씩 자주 공급하여 부담 없이 필요한 영양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너무 차거나 뜨거운 음식은 주지 않도록 한다.

실천사항

1. 적절한 열량을 섭취한다.
2. 지방의 섭취를 줄인다.
3. 소금의 섭취를 줄인다. 소금 섭취량을 1일 5g(나트륨 2,000mg) 이하로 제한한다.
4. 카페인의 섭취를 줄인다. 카페인이 함유된 식품(커피, 콜라, 코코아 등)은 섭취를 제한한다.
5. 섬유소의 섭취를 늘린다. 신선한 채소나 과일, 잡곡, 현미, 콩류, 해조류 등 섬유소가 풍부한 식사를 권장한다.
6. 환자 상태에 맞춰 음식의 질감을 고려한다.

식단정보

구분음식명재료분량

아침

현미찹쌀밥

현미찹쌀밥

1공기

버섯전골

버섯전골

1/2그릇

닭조림

닭고기 40g

1접시

호박볶음

호박

1접시

숙주나물

숙주

1접시

저염깍두기

1/2접시

점심

보리콩밥

보리콩밥

1공기

순두부찌개

순두부찌개

1/2그릇

돼지고기 사태찜

돼지고기 40g

1접시

오이생채

오이

1접시

브로콜리볶음

브로콜리

1접시

무초절이

1접시

바나나

바나나

1/2개

저녁

현미찹쌀밥

현미찹쌀밥

1공기

미역국

미역국

1/2그릇

피망쇠고기채볶음

쇠고기 40g

1접시

꽁치조림

꽁치

1토막

마늘쫑무침

마늘쫑

1접시

저염깍두기

1/2접시

저지방우유

저지방우유

1컵


 

  • 공유링크 복사
    미니홈 쪽지 구독하기
    구독하고 알림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