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이야기
간경변증상 원인는?
칼로리를 충분히 섭취하여 간 기능 보호 및 재생을 돕고 영양결핍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식욕부진, 메스꺼움, 구토, 입맛의 변화 등의 증세가 있어 식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여 칼로리 섭취가 부족하기 쉽다.
당질은 칼로리 공급원일 뿐 아니라 체내에서 단백질을 절약하고 간 기능의 보호 및 회복에 중요한 영양소이므로 충분히 섭취한다. 곡류, 국수, 빵, 감자 등에 당질이 많이 들어 있다. 식사를 제대로 못하는 경우에는 과일, 과일주스, 꿀, 사탕 등을 통해 당질을 섭취하도록 한다.
적정량의 단백질을 섭취한다. 고기, 생선, 해산물, 달걀, 콩, 두부 등은 단백질의 좋은 급원식품이다. 그러나 지나치게 많이 먹을 경우 간에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한 끼에 생선 1~2토막 정도의 단백질 음식을 먹도록 한다.
복수나 부종이 있는 경우에는 소금(나트륨)을 제한한다(1일 5g 이내). 싱겁게 조리하고, 소금 함량이 많은 국물류, 염장식품(김치, 젓갈, 장아찌 등), 가공식품(햄, 베이컨, 치즈, 생선통조림, 육류통조림 등) 및 인스턴트식품 등을 주의한다.
- 소금 1g에 해당하는 양념류의 양 : 소금 1/2작은 술, 진간장 1작은술, 된장, 고추장 1/2큰술, 마요네즈 2큰술
식도정맥류가 있는 경우에는 출혈의 위험이 있으므로 딱딱하거나 거친 음식은 피한다.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통해 비타민, 무기질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한다. 특히, 비타민 B 복합체(비타민 B1, B2, B6, B12, 엽산, 나이아신)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하며, 필요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보충제를 이용한다.
술은 간 기능을 악화시키므로 금지한다.
실천사항
1. 칼로리를 충분히 섭취하고 골고루 먹는다.
2. 적정량의 단백질을 섭취한다.
3.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섭취한다.
4. 싱겁게 먹는다.
5. 술은 마시지 않도록 하고 금연한다.
식단정보
구분 | 음식명 | 재료 | 분량 |
---|---|---|---|
아침 | 쌀밥 | 쌀밥 | 1공기 |
미역국 | 미역국 | 1/2그릇 | |
달걀찜 | 달걀 | 1개 | |
숙주미나리나물 | 숙주, 미나리 | 1작은접시 | |
호박나물 | 애호박 | 1작은접시 | |
물김치 | 물김치 | 약간 | |
점심 | 보리밥 | 보리밥 | 1공기 |
열무된장국 | 열무된장국 | 1/2그릇 | |
두부조림 | 두부 | 2쪽 | |
동태살 조림 | 동태살 | 1토막 | |
시금치나물 | 시금치 | 1작은접시 | |
도라지오이무침 | 도라지, 오이 | 1작은접시 | |
백김치 | 백김치 | 약간 | |
저녁 | 쌀밥 | 쌀밥 | 1공기 |
콩나물국 | 콩나물국 | 1/2그릇 | |
버섯불고기 | 쇠고기 80g, 버섯 | 1접시 | |
채소샐러드 | 양상추, 피망, 당근, 샐러드 드레싱 등 | 1작은접시 | |
가지양념무침 | 가지 | 1작은접시 | |
물김치 | 물김치 | 약간 | |
간식 | 우유 | 우유 | 1컵 |
사과 | 사과 | 1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