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이야기

2018.06.05 15:49

간성뇌증상 뭘까?

칼로리를 충분히 섭취하여 간 기능 보호 및 재생을 돕고 영양결핍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식욕부진, 메스꺼움, 구토, 입맛의 변화 등의 증세가 있어 식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여 칼로리 섭취가 부족하기 쉽다.

단백질을 지나치게 많이 먹지 않도록 한다. 단백질을 너무 많이 먹으면 혈액 내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하여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개인에 따라 적절한 단백질 섭취량에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1일 50g 정도로 섭취한다.

섬유소를 적절히 섭취하여 변비를 예방하도록 한다. 변비가 있으면 증상을 더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신선한 채소와 과일은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섬유소의 좋은 공급원이다.

복수나 부종이 있는 경우에는 싱겁게 먹는다(1일 5g 이내). 싱겁게 조리하고, 소금(나트륨) 함량이 많은 국물류, 염장식품(김치, 젓갈, 장아찌 등), 가공식품(햄, 베이컨, 치즈, 생선통조림, 육류통조림 등) 및 인스턴트식품 등을 주의한다.

- 소금 1g에 해당하는 양념류의 양 : 소금 1/2작은술, 진간장 1작은술, 된장, 고추장 1/2큰술, 마요네즈 2큰술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통해 비타민, 무기질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한다. 특히, 비타민 B 복합체(비타민 B1, B2, B6, B12, 엽산, 나이아신)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하며, 필요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보충제를 이용한다.

술은 간 기능을 악화시키므로 금지한다.

혈중 암모니아 농도를 줄이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식사계획 시 가능한 혈중 암모니아 농도를 높일 수 있는 식품의 사용은 피하도록 한다. 치즈류, 닭고기, 햄버거, 햄, 양파, 버터밀크, 젤라틴, 땅콩버터, 살라미소시지 등은 혈중 암모니아 농도를 높이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식품의 섭취는 가급적 제한하도록 하고, 섭취할 경우에는 자주 먹거나, 많은 양을 먹지 않도록 특히 주의하도록 한다.

실천사항

1. 칼로리를 충분히 섭취한다.
2. 단백질 섭취가 과다하지 않도록 한다.
3. 싱겁게 먹는다.
4. 매일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섭취한다.
5. 술은 금한다.

식단정보

구분음식명재료분량

아침

쌀밥

쌀밥

1공기

무맑은국

무맑은국

1/2그릇

깻잎순나물

깻잎순

1작은접시

양상추샐러드

양상추, 샐러드 드레싱

1작은접시

가지양념무침

가지

1작은접시

물김치

물김치

약간

점심

보리밥

보리밥

1공기

단배추된장국

단배추된장국

1/2그릇

불고기

쇠고기 40g

1작은접시

느타리버섯볶음

느타리버섯

1작은접시

호박나물

호박

1작은접시

무초절이

무초절이

약간

저녁

쌀밥

쌀밥

1공기

미역국

미역국

1/2그릇

가자미구이

가자미

1토막

숙주나물

숙주

1작은접시

오이무침

오이

1작은접시

물김치

물김치

약간

간식

우유

우유

1컵

복숭아통조림

복숭아통조림

2쪽


 

  • 공유링크 복사
    미니홈 쪽지 구독하기
    구독하고 알림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