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이야기

2018.06.05 23:16

간인식 할경우주의할점

성공적인 이식 수술을 위해서는 칼로리, 단백질, 당질, 지방, 비타민 및 무기질 등 모든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여 수술 전에 좋은 영양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정식품 위주로 식사를 하기 보다는 곡류, 어육류, 채소류, 유제품 및 과일을 골고루 먹는다.

간 이식 수술 직후에는 수술 시 소모된 체력을 보충하고, 빠른 회복을 위하여 칼로리와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한다.

가능한 식사를 통해 충분히 음식물을 먹는 것이 좋지만, 제대로 식사를 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관(tube)이나 정맥을 통해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하여야 한다.

간 이식 직후는 면역이 억제된 상태이므로 저균식을 공급하여야 한다.

육류, 해산물, 채소를 비롯하여 모든 음식물은 충분히 가열하여 먹고, 효모가 포함된 음식은 피하도록 한다. 음식을 보관, 준비, 조리하는 과정이 모두 위생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음식물을 취급하기 전후에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고, 식기류도 세균에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간 이식 후 장기적으로는 정상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균형있는 식사를 하도록 한다. 그러나 사용하는 약물이나 수술 후 합병증을 고려하여 식사를 계획한다.

이식 전 간질환으로 인하여 사용되었던 약물이나, 이식 후 사용한 약물로, 골다공증,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등 여러 가지 합병증이 나타날 경우에는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저균식 조리 방법
- 모든 식품을 데치거나, 찌거나, 볶는 등 가열하여 섭취한다. 가열 처리한 이후에 다른 양념(통깨, 향신료, 다진 채소 등)을 추가할 경우에는 다시 한 번 가열 처리한다.
- 육류, 가금류 및 해산물은 완전하게 가열하고, 살균되었다 하더라도 해산물과 생선내장부위는 섭취 제한한다.
- 음료류(우유 및 주스)는 살균되어야 한다.
- 식품을 다루는데 접촉할 수 있는 모든 식기, 칼, 도마 및 행주는 철저하게 위생적으로 관리하며, 익힌 것과 날 것에 사용하는 식기와 도구는 분리하여 사용한다.
- 박테리아의 성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저온(4℃ 이하)에서 저장한다.
- 외식을 하는 경우 잠재적으로 세균의 오염이 높은 음식은 피한다.(샐러드바, 회, 비가열육류, 생선, 조개류, 가금류 및 달걀 등)
- 가열하지 않았거나 살균처리하지 않은 음료는 마시지 않는다.

실천사항

1. 간 이식 수술 후 빠른 회복을 위하여 수술 전부터 영양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2. 칼로리, 단백질, 당질, 지방, 비타민 및 무기질 등 모든 영양소를 골고루 충분히 섭취한다.
3. 수술 직후에는 감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저균식을 섭취하여야 한다.
4. 수술 후 장기적으로는 균형식을 통해 적절한 영양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합병증이 동반되면 이에 따라 개별적인 식사관리를 하여야 한다.

식단정보

구분음식명재료분량

아침

쌀밥

쌀밥

1공기

콩나물국

콩나물국

1그릇

새우채소볶음

새우살 1/2컵, 양파, 당근

1작은접시

호박나물

호박

1작은접시

무나물

1작은접시

김치볶음

배추김치

1/2작은접시

점심

콩보리밥

콩보리밥

1공기

미역국

미역국

1그릇

불고기

쇠고기 40g, 양파, 버섯, 당근

1작은접시

두부양념조림

두부

2쪽

가지나물

가지

1작은접시

비름나물

비름나물

1작은접시

저녁

흑미밥

흑미밥

1공기

버섯된장찌개

양송이, 느타리, 호박, 풋고추 등

1그릇

삼치양념구이

삼치

1토막

달걀찜

달걀

1개

시금치나물

시금치

1작은접시

숙주나물

숙주

1작은접시

총각김치조림

총각김치

1/2작은접시

간식

멸균우유

멸균우유

1컵

멸균두유

멸균두유

1컵

황도통조림

황도통조림

2쪽

사과주스(캔)

사과주스

1/2컵


 

  • 공유링크 복사
    미니홈 쪽지 구독하기
    구독하고 알림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