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이야기
고콜레스테롤혈증상 원인는?
콜레스테롤은 세포막의 구성성분이며 담즙산, 호르몬, 비타민 D를 합성하는데 쓰이는 지방의 일종이다. 콜레스테롤은 식사에서 뿐만 아니라 간에서도 만들어지며 우리 몸은 일정한 콜레스테롤 수준이 유지되도록 조절된다. 그러나 너무 많이 섭취하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비만이거나 심혈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콜레스테롤이 많은 식품을 자주 섭취하지 말아야 한다.
1일 콜레스테롤 섭취는 200mg 이하로 제한하며, 콜레스테롤이 많이 함유된 식품은 1주일에 1~2회 이하로 제한하여 섭취한다.
식사 중 포화지방산 섭취를 제한한다. 포화지방산은 주로 동물성 지방에 포함되어 있으며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기 때문에 가급적 섭취를 제한한다. 한편, 불포화지방산은 주로 식물성 기름에 포함되어 있으며,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효과가 있으므로 포화지방산 보다는 불포화지방산으로 이용하도록 한다.
섬유소를 많이 먹으면 혈액 내 콜레스테롤수치가 낮아지고 체중 감소에도 도움이 되므로, 가급적 섬유소가 많은 식품을 선택하여 먹는다.
혈압 조절 및 심장 혈관에 부담을 적게 하기 위해 음식을 싱겁게 섭취하며, 염분이 많은 식품의 섭취에 주의한다.
실천사항
1. 적정한 체중을 유지한다.
2.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식품의 섭취를 제한한다.
- 콜레스테롤 다량 함유 식품 : 간, 곱창, 달걀노른자, 오징어, 새우, 장어, 미꾸라지, 생선알과 내장 등
3. 포화지방산의 섭취를 제한하고, 불포화지방산으로 대체하여 섭취한다.
- 포화지방산 다량 함유 식품 : 소기름, 돼지기름, 베이컨, 버터, 치즈, 생크림, 코코넛유, 팜유 등
- 불포화지방산 다량 함유 식품 : 등푸른 생선, 콩기름, 들기름, 참기름, 올리브기름, 견과류 등
4. 충분한 섬유소를 섭취한다.
5. 싱겁게 섭취한다.
6. 규칙적으로 적절한 운동을 한다.
식단정보
구분 | 음식명 | 재료 | 분량 |
---|---|---|---|
아침 | 보리밥 | 보리밥 | 1공기 |
미역국 | 미역국 | 1그릇 | |
갈치구이 | 갈치 | 1토막 | |
애호박나물 | 애호박 | 1작은접시 | |
도라지생채 | 도라지 | 1작은접시 | |
점심 | 콩밥 | 콩밥 | 1공기 |
아욱국 | 아욱국 | 1그릇 | |
닭살볶음 | 닭고기 | 40g | |
양상추샐러드 | 양상추 | 1작은접시 | |
연두부찜 | 연두부 | 연두부 150g | |
저녁 | 차조밥 | 차조밥 | 1공기 |
무다시마국 | 무, 다시마 | 1그릇 | |
삼치구이 | 삼치 | 1토막 | |
오이생채 | 오이 | 1작은접시 | |
버섯볶음 | 느타리버섯 | 1작은접시 | |
간식 | 사과 | 사과 | 1개 |
저지방우유 | 저지방우유 | 1컵 |
- 이전글고혈압 개선방법은?2018.06.05
- 다음글고중성지방혈증상 원인는?2018.06.05